언리얼 엔진 (Unreal Engine)으로 시네마틱을 제작할 때 특정 오브젝트의 알파 채널이 필요할 때가 있다. 애프터 이펙트 (After Effect) 같은 합성 프로그램에서 영상을 합성하려면 알파 채널이 있는 시퀀스가 필요한데 언리얼 엔진 (Unreal Engine)에서도 Composure라는 기능으로 알파 채널을 쉽게 뽑을 수 있다. 1. 언리얼 엔진 (Unreal Engine)에서 Composure 기능을 사용하려면 플러그인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편집→플러그인 메뉴로 들어간다. 2. 플러그인 메뉴에서 좌측 '내장 플러그인'을 선택 후 우측 상단 검색어에 'Composure' 입력하면 Composure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다. 활성화됨에 체크하고 지금 재시작하면 재부팅이 된다. 3. 상단 창 ..
변수(variable) 정확하지 않지만 변수를 처음 이해할 때 상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변수 상자에 어떠한 것을 담아 놓을 수 있고, 상자 안에 필요한 것이 있을 때 상자를 가지고 와서 꺼내면 된다. 즉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어떠한 상자에다가 내가 원하는 것을 넣고, 필요할 때 사용한다는 것이다. 변수(variable)의 종류 변수(variable)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1. var : 내 마음대로 원하는 것을 넣을 수 있는 상자 → Variable 2. val : 한번 넣으면 바꿀 수 없는 상자 → Value 변수 선언하는 방법 var / val 변수명(상자) = 값(넣고 싶은 것) var num = 10 var hello = "hello" var point = 3.4 var fix = 20 ..
언리얼 엔진 (Unreal Engine)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작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언리얼 엔진 안에 내장되어 있는 시퀀서 (Sequencer)를 이용하면 실시간 영상을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간혹 영상 제작 시 특정 오브젝트에 영상 텍스쳐(Texture)를 입혀야 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시퀀서 (Sequencer) 안에 있는 미디어 트랙 (Media Track)이다. 시퀀서에서는 미디어 트랙 (Media Track), 미디어 소스 (Media Source), 미디어 텍스쳐 (Media Texture)를 이용하여 영상 소스 재생이 가능하고, 내부 미디어 플레이어 (Media Player)를 생성해서 별도의 미디어 플레이어 (Media Player)가 필요 없다. 이 뜻은..
코틀린 언어 (Kotlin Language) 안드로이드 (Android) 앱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자바와 코틀린을 사용한다. 그중에서 자바가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비중이 높지만, 2019년 5월 7일 이후로, 구글이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코틀린 (Kotlin)을 선택하면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선호하는 언어가 되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은 자바(Java) 언어의 대체 언어인 코틀린 (Kotlin)을 유력한 차세대 언어로 보고 있다. JetBrains에서 개발을 하였고 구글이 Java(자바) 언어에서 벗어나기 위해 코틀린[Kotlin]을 선택한 만큼 통합 개발 환경에서 주로 지원되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이클립스에서도 코틀린 (Kotlin) 플러그인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최신 언어에서 개발된 언..